Programming
[보안] CORS 란? CORS 에러란?
프론트엔드 개발을 하다보면 무심코 브라우저단에서 백엔드 서버에 요청을하다가 한번쯤 CORS 에러를 마주해보셨을 것 같습니다. 위 사진처럼 console에 뜨게되는데요. 처음 마주하면 아니 나는 정상적으로 요청했는데?! postman으로 호출하면 잘 호출되던데?! 왜 너는 허락을 안해주는거니?? 하는 마음이 들게됩니다 ㅠㅠ 자 오늘은 이 CORS 에러에 대해 간단하게 알아봅시다 CORS란? CORS는 Cross Origin Resource Sharing의 약자인데 직역하면 서로 다른 도메인간에 자원을 공유하는 것을 의미하며 기본적으로 브라우저에서 차단되어있습니다. 왜 차단시켜요..? 브라우저는 사실 공격에 굉장이 취약합니다. 누군가 의도적으로 악의적인 자바스크립트를 웹사이트에 심어놓는다면, Client의 ..
[보안] OAuth란? (OAuth1.0, OAuth2.0)
OAuth는 Open Authorization의 줄임말입니다. 웹개발, 특히 보안이 중요한 로그인 회원가입에 대한 개발을 하다보면 한번쯤은 보는 단어죠!. 오늘은 이 OAuth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! OAuth 탄생배경 서비스를 이용하다보면 한 서비스가 다른 서비스와 연동이 되는 경우를 볼 수 있습니다. Facebook이나 트위터가 세상에 널리 퍼지게된 이유 중에 하나가 외부 서비스에서도 Facebook과 트위터의 일부 기능을 사용할 수 있게 한 것입니다. 외부 서비스와 연동되는 Facebook이나 트위터의 기능을 이용하기 위해 사용자가 반드시 Facebook이나 트위터에 로그인해야 하는 것이 아니라, 별도의 인증 절차를 거치면 다른 서비스에서 Facebook과 트위터의 기능을 이용할 수 있게 되는 것입..
[언어] 컴파일러(Compiler)와 인터프리터(Interpreter)
배경설명 코드를 작성하는 이유는 결국 그 코드를 실행했을 때 컴퓨터가 코드에 쓰인대로 행동하도록 하기 위해서겠죠! 하지만 컴퓨터의 뇌인 CPU는 사람이 사용하는 개발언어(C, C++, Java, Python 등)를 이해할 수 없습니다. CPU는 결국 몇백억개의 반도체로 이루어져있고, 하나의 반도체는 전기가 흐르고 안흐르고에 따라 1과 0만을 인식하고 나타낼 수 있기 때문이죠. 그렇다고 사람이 1과 0만으로 코드를 짠다면.. 어떤 로직을 가진 코드인지 아시겠나요?? 사람은 한눈에 이해를 못하겠지만 CPU는 이렇게 쓰인 코드만 이해할 수 있습니다. 이 처럼 서로 이해하지 못하는 다른 언어를 쓴다면 번역이 필요하겠죠. 따라서 사람이 쓰는 개발언어(C, C++, Java, Python 등)를 기계어(010110..